[learning go] 2. 기본 데이터 타입과 선언
1. 할당되지 않은 변수 - zero 값 할당 bool - fales int - 0 문자열 - empty string 자연스럽게 null object 패턴 적용 가능하다. 2. 리터럴 리터럴(literal) = 소스 코드에서 값을 나타내는 표기법 integer 0b, 0o, 0x 1_234 floating 6.03e23 0x, p (지수) rune(문자) '와 " 혼용 불가 'a', '\141'=8진 숫자, 'x61'=8bt 16진수 숫자, '\u0061'=16bit 16진수 숫자, 'U00000061'=32bit 유니코드 8진수 - 권한 플래그, 16진수/이진수 - 비트 필터, 네트워킹, 인프라 응용 프로그램에 사용 문자 리터럴 "Greetings and\n\"Salutations\"" `Greetin..
[프로그래머스/정렬] 가장 큰 수
문제 설명 0 또는 양의 정수가 주어졌을 때, 정수를 이어 붙여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수를 알아내 주세요. 예를 들어, 주어진 정수가 [6, 10, 2]라면 [6102, 6210, 1062, 1026, 2610, 2106]를 만들 수 있고, 이중 가장 큰 수는 6210입니다. 0 또는 양의 정수가 담긴 배열 number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순서를 재배치하여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수를 문자열로 바꾸어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. 제한 사항 numbers의 길이는 1 이상 100,000 이하입니다. numbers의 원소는 0 이상 1,000 이하입니다. 정답이 너무 클 수 있으니 문자열로 바꾸어 return 합니다. 입출력 예 numbers return [6, 10, ..
[프로그래머스/정렬] K번째수
문제 설명 배열 array의 i번째 숫자부터 j번째 숫자까지 자르고 정렬했을 때, k번째에 있는 수를 구하려 합니다. 예를 들어 array가 [1, 5, 2, 6, 3, 7, 4], i = 2, j = 5, k = 3이라면 array의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르면 [5, 2, 6, 3]입니다. 1에서 나온 배열을 정렬하면 [2, 3, 5, 6]입니다. 2에서 나온 배열의 3번째 숫자는 5입니다. 배열 array, [i, j, k]를 원소로 가진 2차원 배열 comman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commands의 모든 원소에 대해 앞서 설명한 연산을 적용했을 때 나온 결과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. 제한사항 array의 길이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. a..